30. 30대의 연금 전략: 연금저축·IRP·국민연금 어떻게 조합할까?

30. 30대의 연금 전략: 연금저축·IRP·국민연금 어떻게 조합할까?

안녕하세요. “서른, 돈을 배우다”입니다.
연금이라는 말을 들으면 왠지 멀게만 느껴지죠. “아직 30대인데 연금까지 생각해야 해?” 하지만

지금의 선택이 30년 뒤 삶의 질을 결정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30대가 꼭 알아야 할 ‘3층 연금 전략’국민연금, 연금저축, IRP를 어떻게 조합하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안내합니다.

1. 3층 연금이란?

정부와 금융권에서 권장하는 노후 대비 연금 구조입니다.

  1. 1층: 국민연금 - 국가가 운영하는 공적연금
  2. 2층: 퇴직연금(IRP) - 회사 혹은 개인 퇴직금 기반
  3. 3층: 연금저축 - 개인이 스스로 준비하는 세액공제 연금

2. 국민연금: 무조건 가입, 포기하면 손해

  • 가입 강제: 소득이 있는 모든 국민은 납입 대상
  • 소득대체율 약 30~40%
  • 노후 최소 생활비 보장용

포인트

  • 퇴사 후 지역가입 or 임의가입 유지 필수
  • 납입기간 10년 이상 → 연금 수령 자격

3. 연금저축: 세액공제 + 수익률 + 복리

  • 연간 400만 원까지 납입 시 13.2% 세액공제
  •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→ 저율 과세(3.3~5.5%)
  • ETF, 펀드, 예금 등 운용 가능 → 자산 성장용

활용 전략

  • 월 33만 원 납입으로 최대 공제
  • 20~30대는 ETF 중심, 40대 이후 채권 중심 전환
  • 소득 공백기에는 최소 납입 유지

4. IRP: 퇴직금 + 개인 납입 모두 가능

  • 연금저축과 합산 연간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
  • 퇴직금 수령 계좌로도 사용 가능
  • 연금 수령 시 세금 3.3~5.5%

주의사항

  • 중도 해지 시 세금 폭탄(16.5%)
  • 55세 이전 수령 불가
  • 소득 있는 기간에만 세액공제 혜택 가능

5. 30대를 위한 조합 전략

① 직장인 (세전 연봉 4,000만 원 이상)

  • 국민연금: 자동 납입
  • 연금저축: 월 33만 원 납입 → 세액공제 극대화
  • IRP: 월 25만 원 납입 → 총 700만 원 세테크 완성

② 프리랜서 / 자영업자

  • 국민연금: 임의가입 or 지역가입 유지
  • 연금저축: 소득 증빙 가능 시 세액공제 적용
  • IRP: 은퇴 대비 용도로 최소 10만 원부터 시작

③ 소득이 불규칙하거나 불안정한 경우

  • 연금저축: 세액공제는 포기하고, 비과세 상품처럼 활용
  • ETF 중심 운용으로 자산 성장 도모
  • IRP는 소득 안정 이후 활용 고려

6. 연금 전략 실전 포트폴리오

항목월 납입비고
국민연금20~40만 원소득의 9%
연금저축33만 원연 400만 원 공제 한도
IRP25만 원연 300만 원 공제 한도

마무리하며

연금은 멀지 않은 미래의 생존 전략입니다.

30대가 지금 연금을 설계하면, 60대의 삶이 완전히 달라집니다.

당신의 노후는 당신이 만든 연금 포트폴리오에 달려 있습니다. 지금이라도, 작은 돈이라도, 꾸준히 시작하세요.

관련 해시태그

#30대연금전략 #연금저축활용법 #IRP운용팁 #국민연금이해하기 #3층연금전략 #노후준비시작 #세액공제연금 #퇴직연금계획 #ETF연금저축 #복리자산관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