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. 퇴사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연금 3종 세트 (국민연금, 퇴직연금, 연금저축 체크리스트)
안녕하세요. “서른, 돈을 배우다”입니다.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언젠가는 퇴사를 경험하게 됩니다. 그런데 이때 대부분이 놓치는 게 하나 있습니다. 바로 “연금 관리”입니다.
퇴사는 단순한 직장 이탈이 아니라, 미래 자산 관리의 갈림길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
퇴사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연금 3종 세트
를 안내합니다.
1. 국민연금: 퇴사하면 바로 중단됩니다
- 직장가입자는 매달 국민연금이 자동 납부됨
- 퇴사 시 자동 중단 → 지역가입자로 전환해야 납부 지속 가능
국민연금 유지 방법
- 지역가입자 전환: 국민연금공단에 신고
- 임의가입자 선택: 소득 없을 경우에도 납부 희망 시
- 납부 예외 신청: 일정 기간 납부 유예 가능 (단, 가입 기간 단축)
2. 퇴직연금(IRP): 퇴직금이 들어오는 그릇
- 퇴직 시 퇴직금은 자동으로 IRP 계좌로 입금
- 퇴직금 수령 방식: 일시금 vs 연금 수령 선택
- 연금 수령 시 세율 3.3~5.5%, 일시금은 16.5%
퇴직금 연금 수령 전략
- IRP 계좌 내 ETF/채권 등으로 운용 가능
- 55세 이후 연금 전환 → 세금 아끼며 자산 운용
- 주의: 퇴직 직후 인출하면 세금 폭탄
3. 연금저축: 퇴사 시 납입 중단? 절대 안 됩니다
- 연금저축은 개인이 선택한 ‘노후 자산 계좌’
- 직장 상실과 무관하게 계속 납입 가능
- 세액공제 혜택은 무직자일 경우 해당 안 될 수 있음
퇴사 후 연금저축 유지 전략
- 소득 없으면 ‘세액공제 없음’ → 월 10만 원 이하로 축소 납입
- 재직 시작하면 다시 월 33만 원까지 확대
- 중도 해지 절대 금지: 세액공제 환수 + 기타소득세 발생
퇴사 전에 꼭 점검해야 할 연금 체크리스트
항목 | 점검 내용 |
---|---|
국민연금 | 지역가입 전환 or 임의가입 여부 결정 |
퇴직연금(IRP) | 일시금 수령 X → 연금 전환 계획 세우기 |
연금저축 | 유지 납입 계획 수립, 해지 금지 |
보너스: 퇴사 후 6개월간 보험료 폭탄 주의
- 건강보험: 지역가입자로 전환 시 ‘소득 없음’에도 보험료 부과
- 국민연금: 미납 시 추후 납부 인정 불가
- 실손보험·정액보험 등 납입 유지 여부 점검
퇴사 후 연금 관리 루틴
- 국민연금공단에 신고 → 임의가입 유지
- 퇴직금 IRP 입금 확인 → 상품 구성 점검
- 연금저축 자동이체 상태 유지 or 납입 조정
마무리하며
퇴사는 인생의 전환점입니다.
하지만 연금 관리를 놓치면, 노후는 ‘낭떠러지’로 전환됩니다.
3가지 연금의 흐름만 잘 잡아도, 퇴사 이후의 불안은 절반 이상 줄어듭니다. 퇴사 전, 당신의 연금은 준비되어 있나요?
관련 해시태그
#퇴사연금정리 #퇴직연금관리 #연금저축전략 #국민연금유지법 #퇴사자건보료폭탄 #30대퇴직준비 #퇴직금IRP전환 #연금체크리스트 #직장인퇴사준비 #노후준비전략
'보험 & 연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. 연금저축, 해지하면 벌어지는 일들 (생각보다 훨씬 큰 손해) (1) | 2025.05.08 |
---|---|
20. 보험 리모델링, 3년에 한 번은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(보장 유지하고 보험료는 줄이는 법) (2) | 2025.05.08 |
18. 건강보험료, 이렇게 하면 줄어듭니다 (합법적 절세 루틴 5가지 공개) (3) | 2025.05.08 |
17. 연금저축 vs IRP, 어디에 먼저 넣어야 할까요? (30대를 위한 연금 전략 완전 정리) (2) | 2025.05.08 |
16. 실손보험, 진짜 필요한가요? (2025년 최신 기준 완전 해부) (2) | 2025.05.08 |